이동 삭제 역사 ACL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project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연혁 == [* 해석 : 모두가 이룰 새로운 이야기 / 러브라이브! School idol project] --[[파일:lovelivestart.jpg]]-- 2010년 5월 29일, 러브 라이브! 프로젝트가 최초 공개되었다. 초기에 결정된 사업 전개 방식은 관련 3사가 각각 장기로 삼는 분야에 특화된 콘텐츠를 제작 후 공개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캐릭터들의 디자인이나 설정 및 배경 스토리는 G's 매거진 지면을 통해 연재(이후 소설과 코믹스의 형태로 단행본화된다.), 아이돌 활동의 핵심인 노래는 란티스가 제작한 싱글 CD에 수록하여 판매, 노래와 관련된 댄스 신을 비롯한 각종 동영상은 선라이즈에서 제작하고 싱글 동봉 DVD에 수록하여 가상 아이돌 캐릭터 및 그룹의 모습을 정립하고 인지도 획득을 꾀하였다. 한편으로 이들 콘텐츠의 소비자, 즉 팬의 의견은 [[전격 G's magazine]] 지면에서 열리는 독자 투표를 통해 반영하였다. 주요 사항은 PV에서 각 캐릭터의 포지션을 결정하거나 헤어스타일 및 의상의 선택이었으며, 그룹의 명칭이나 개별 유닛의 소속 캐릭터 및 이름도 모두 이러한 방식을 통해 채택되었다. 이 독자 투표의 결과로 프로젝트 발족 직후에는 가칭이었던 메인 그룹 명칭 μ's와, 개별 유닛의 명칭 [[Printemps]], [[비비#s-5|BiBi]], [[lily white]] 및 그 소속 멤버가 결정되었으며 이후 개인 앨범의 발매 여부를 포함한 다양한 투표 항목이 생겨났다. 이는 일본 굴지의 아이돌 그룹 [[AKB48]]이 [[AKB48/총선거|총선거]]라는 기발한 제도를 통해 입지를 굳힌 사례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각자의 분야에서 충분한 이름값과 역량을 가진 3사의 결속으로 탄생한 프로젝트였음에도 초기의 인지도 상승은 쉽지 않았다. 특히 1st 싱글 발매 당시에는 공식 PV가 15초짜리 한 종류뿐이라 공식 영상보다도 [[니코니코 동화]]에 무단 업로드된 1st 싱글 수록 자기소개 동영상이 더 관심을 끌 정도였고, 2nd 싱글 발매 전에는 러브 라이브를 알릴 수 있는 콘텐츠가 월간 잡지 G's 매거진 하나뿐인 데에다 그마저도 페이지 할당이 얼마 안 되는 등 이른바 홍보 요령의 부재가 초반 무관심의 주요 원인이었다. 당시 홍보 방식은 프로듀서가 실수임을 인정했을 정도. 그나마 2nd 이후로는 정규 싱글 사이에 유닛 싱글, 듀오·트리오 싱글 등을 발매하고 프로듀서가 트위터에서 간헐적으로 새 정보를 흘리는 식으로 보완했지만 여전히 여타 [[가상 아이돌]] 콘텐츠에 비교하기는 어려운 수준이었다. 이에 대해서는 [[http://maystorm.egloos.com/3457528|출범 초기의 반응]],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30/read?articleId=21059230&bbsId=G005&itemId=75&pageIndex=2|흥행 가도에 오르기까지의 모습들]]을 참조. 이와 같은 이유로 초기 호응도나 구체적인 사업 지표가 되는 싱글 판매량이 대단히 저조했음에도[* 단 434장만이 팔렸다고 한다.] 3사의 결속과 추진력이 강고하여 꾸준한 홍보와 관련 상품 발매로 널리 이름을 알리게 되었고, 어떤 식으로든 관심을 두고 팬이 된 이들의 충성도 역시 높아 점차 세를 얻었다. 그리고 2013년 방영한 애니메이션을 통해 기록적인 성장을 이루어내어 2014년 이후 방영된 애니메이션 2기나 이때까지 발매된 여러 관련 행사 및 상품을 통해 일본을 비롯하여 한국과 여타 해외 국가에도 큰 팬덤을 가진 콘텐츠로 자리매김했다. 2015년 6월 13일, 일본에서 [[럽장판|극장판]]을 개봉하였고 수익 '''약 26억 엔'''을 달성하면서 심야 애니 [[극장판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신편] 반역의 이야기]]를 제치고 '''당당히 1위를 달성했다.''' 2015년 9월 3일 한국에서도 개봉하여 2015년 9월 27일 에반게리온 서를 이기며 1위를 달성했다.[* 단, 이 결과는 일본 애니메이션 중 '''심야''' 애니메이션에 한해서다.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시간을 달리는 소녀도 넘기는 하였으나 유명한 다른 작품들은 한국시장 내에서 여전히 넘지 못했다.] 자세한 것은 [[럽장판|해당 문서]] 참고. 2015년 12월 5일 현재 러브 라이브의 메인 그룹인 μ's가 2016년 3월 31일과 4월 1일, 일본의 도쿄돔에서 파이널 라이브를 한다는 뉴스가 나왔다. 하지만 아직 공식 발표가 나오지는 않았다. 라이브만 마지막인지, 아니면 뮤즈도 활동을 끝내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뮤즈의 원맨 라이브만 마지막이라는 설도 있다. [[러브 라이브! 선샤인!! School idol project|선샤인]]의 [[Aqours|아쿠아]]로 러브 라이브 브랜드를 지속할 예정인 듯하나 커뮤니티 등지에서는 모두 큰 충격에 빠졌으며 아마 선라이즈나 란티스가 뒷감당을 하기 힘들 것이라고 예상 중이다. [[https://video.twimg.com/ext_tw_video/672799690908282880/pr/vid/640x360/IrOangiLH1WHEE7S.mp4|파이널 라이브 발표 영상]] 그리고, 결국 공식 발표가 났다. 선술 했듯, 현재 확정된 것은 성우 유닛 뮤즈의 마지막 라이브라는 것뿐으로, 이것을 끝낸다고 해서 앞으로 뮤즈와 관련된 모든 콘텐츠(굿즈 등)의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아니다. 자세한 것은 [[μ’s 파이널 라이브 논란|해당 문서]] 참고. 2014년 말 한 유저가 어떤 러브 라이브 카페에 자신이 선라이즈에 지인이 있고 럽장판 이후 활동을 중지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는 글을 쓰고 허위사실 유포로 정지를 먹었었다. 이 내용은 파이널 라이브 논란이 일기 전까지 나무위키에도 존재했었다. 하지만, 러브 라이브 파이널 라이브와 관련해서 뮤즈의 성우인 [[닛타 에미]]가 뮤즈의 해산을 부정했고, [[토쿠이 소라]]는 원맨 파이널 라이브는 [[http://imgur.com/WTiCZaS|""원맨에서의 집대성이 될 라이브다""]]라고 언급했다. 원맨 파이널 라이브에 관련해서는, 이번 연도에 Aqours라는 그룹이 또 생겨났듯이, '''라이브가 끝나는 게 아니라, μ's의 이름만을 걸고 하는 라이브가 이제 끝났음을 알리는 것일 가능성도 있다.''' 결국 2016년 4월 2일 딜레이 뷰잉이 끝난후 뮤즈의 음반을 사면 제공되었던 Loveca+의 교환 마감이 발표되었다. 공식 트위터에서 ""6년간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라는 문장을 포함시킨것을 보아 뮤즈에 대한 프로젝트는 공식적으로 종료된것으로 보인다. [[https://twitter.com/LoveLive_staff/status/716236834452422656|공식트윗]]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4.210.92)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